한투 CMA와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ETF는 단기 자금 운용에 활용되는 대표적인 금융 상품입니다. 각각의 6개월 투자 성과를 비교해보겠습니다.
한투 CMA (Cash Management Account): CMA는 고객의 예탁금을 국공채, 기업어음 등 단기 금융상품에 투자하여 수익을 제공하는 계좌입니다. 한국투자증권의 CMA 금리는 시장 금리에 따라 변동되며, 일반적으로 연 2%에서 3% 사이의 이자를 제공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1,000만 원을 6개월(약 182일) 동안 투자하면, 연 2.5%의 이자율을 가정할 때 약 12만 5,000원의 이자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ETF: 이 ETF는 91일물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의 변동을 추적하며, 매일 해당 금리만큼 ETF 가격에 이자가 반영되는 구조입니다. 2025년 3월 7일 기준으로 6개월 수익률은 약 1.68%로 보고되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1,000만 원을 6개월 동안 투자하면 약 16만 8,000원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비교 결과:
- 한투 CMA: 6개월 예상 이자 약 12만 5,000원
-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ETF: 6개월 예상 수익 약 16만 8,000원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ETF가 한투 CMA보다 약간 높은 수익률을 보입니다. 그러나 투자 시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 거래 수수료: ETF 매매 시 매수와 매도 각각에 대해 증권사 거래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 운용 보수: ETF는 연 0.02%의 운용 보수가 있으며, 이는 기준가격에 반영됩니다.
- 세금: ETF 매도 시 15.4%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됩니다.
- 출금 가능 시점: ETF 매도 대금은 결제일인 2영업일 후에 출금 가능합니다.
반면, CMA는 일반적으로 거래 수수료가 없고, 이자에 대한 세금이 자동으로 원천징수되며, 출금이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 목적, 유동성 필요성, 세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적합한 상품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한투 CMA와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ETF의 1,000만 원에 대한 6개월 투자 성과를 수수료와 세금을 반영하여 비교해보겠습니다.
1. 한투 CMA:
- 이자 수익: 연 2.5%의 이자율을 가정하면, 6개월(약 182일) 동안의 이자는 약 12만 5,000원입니다.
- 세금: 이자 소득에 대해 15.4%의 이자소득세가 원천징수됩니다.
- 세금: 12만 5,000원 × 15.4% = 약 1만 9,250원
- 실수령 이자: 12만 5,000원 - 1만 9,250원 = 약 10만 5,750원
2.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ETF:
- 수익률: 6개월 수익률이 약 1.68%로 가정하면, 투자 수익은 16만 8,000원입니다.
- 운용보수: 연 0.2%의 운용보수가 있으나, 이는 ETF 가격에 이미 반영되어 별도로 고려하지 않습니다.
- 거래 수수료: 매수와 매도 시 각각 0.015%의 거래 수수료가 발생한다고 가정하면:
- 매수 수수료: 1,000만 원 × 0.015% = 1,500원
- 매도 수수료: (1,000만 원 + 16만 8,000원) × 0.015% = 약 1,525원
- 총 거래 수수료: 1,500원 + 1,525원 = 약 3,025원
- 세금: ETF 매도 시 발생한 이익에 대해 15.4%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됩니다
-
- 세금: 16만 8,000원 × 15.4% = 약 2만 5,872원
- 실수령 수익: 16만 8,000원 - 3,025원(수수료) - 2만 5,872원(세금) = 약 14만 9,103원
-
비교 결과:
-
- 한투 CMA: 약 10만 5,750원의 실수령 이자
-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ETF: 약 14만 9,103원의 실수령 수익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ETF가 한투 CMA보다 약 4만 3,353원 더 높은 수익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투자 시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 유동성: CMA는 자금을 언제든지 입출금할 수 있는 반면, ETF는 매도 후 결제일까지 2영업일이 소요됩니다.
- 위험성: ETF는 시장 변동에 따라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므로, 원금 손실의 위험이 있습니다.
편의성: CMA는 자동으로 이자가 계산되고 지급되지만, ETF는 매매를 직접 관리해야 합니다.
3개월 투자 시 한투 CMA와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ETF의 예상 수익을 비교해보겠습니다.
1. 한투 CMA (Cash Management Account)
- 이자율: 연 2.5% 가정
- 세전 이자:1,000만원×2.51,000만 원 × 2.5% × \frac{91}{365} = 약 6만 2,466원
- 세금 (15.4% 원천징수):6만2,466원×15.46만 2,466원 × 15.4% = 약 9,619원
- 세후 이자:6만2,466원−9,619원=약5만2,847원6만 2,466원 - 9,619원 = 약 5만 2,847원
2.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ETF
- 수익률: 최근 6개월 수익률(1.68%)을 바탕으로 3개월(절반) 동안 0.84% 가정
- 세전 수익:1,000만원×0.841,000만 원 × 0.84% = 8만 4,000원
- 거래 수수료 (매수+매도, 0.05% 가정):
- 매수: 1,000만 원 × 0.05% = 500원
- 매도: (1,008만 4,000원) × 0.05% = 약 504원
- 총 수수료: 500원 + 504원 = 약 1,004원
- 과세 대상 금액:8만4,000원−1,004원=8만2,996원8만 4,000원 - 1,004원 = 8만 2,996원
- 배당소득세 (15.4%):8만2,996원×15.48만 2,996원 × 15.4% = 약 1만 2,793원
- 세후 수익:8만2,996원−1만2,793원=약7만190원8만 2,996원 - 1만 2,793원 = 약 7만 190원
비교 결과
투자 상품세후 수익 (3개월)
한투 CMA 약 5만 2,847원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ETF 약 7만 190원 ➡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ETF가 약 1만 7,343원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음.
추가 고려 사항
- CMA는 유동성이 뛰어나고 원금 보장이 가능하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수익률.
- ETF는 시장 금리에 따라 수익 변동이 가능하며, 매도 후 출금까지 시간이 걸림.
- 단기 운용이라면 안전한 CMA, 조금 더 높은 수익을 원한다면 ETF가 적합.
3개월 투자 수익 비교 (한투 CMA vs.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1. 한투 CMA (연 2.45%)
- 세전 이자 계산:1,000만원×2.45%×91365=6만1,174원1,000만 원 × 2.45\% × \frac{91}{365} = 6만 1,174원
- 세금 (15.4% 원천징수):6만1,174원×15.4%=9,419원6만 1,174원 × 15.4\% = 9,419원
- 세후 이자:6만1,174원−9,419원=∗∗5만1,755원∗∗6만 1,174원 - 9,419원 = **5만 1,755원**
2.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ETF (3개월 0.71%)
- 세전 수익 계산:1,000만원×0.71%=7만1,000원1,000만 원 × 0.71\% = 7만 1,000원
- 거래 수수료 (매수+매도, 0.05% 가정):
- 매수: 1,000만 원 × 0.05% = 500원
- 매도: (1,007만 1,000원) × 0.05% = 약 504원
- 총 수수료: 500원 + 504원 = 1,004원
- 과세 대상 금액:7만1,000원−1,004원=6만9,996원7만 1,000원 - 1,004원 = 6만 9,996원
- 배당소득세 (15.4%):6만9,996원×15.4%=1만778원6만 9,996원 × 15.4\% = 1만 778원
- 세후 수익:6만9,996원−1만778원=∗∗5만9,218원∗∗6만 9,996원 - 1만 778원 = **5만 9,218원**
최종 비교 결과
한투 CMA (2.45%) | 5만 1,755원 |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ETF (0.71%) | 5만 9,218원 |
➡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ETF가 약 7,463원 더 높은 수익을 제공.
추가 고려 사항
- CMA: 자유로운 입출금 가능, 원금 보장, 안정적인 이자 지급.
- ETF: 유동성이 낮음(매도 후 2일 소요), 시장 금리 변동에 따라 수익률 변동 가능.
- 차이: 3개월 기준 약 7,500원 차이로, 큰 차이는 아니므로 유동성을 고려한 선택이 중요.
투자 성향에 맞게 선택하시면 좋겠습니다!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fake (0) | 2025.03.31 |
---|---|
캐시워크 캣슬린 정답 (1) | 2025.03.28 |
틱톡라이트로 재테크 가능한가? 웬만한 웹테크는 가라! (0) | 2025.03.28 |